Responsive Advertisement
뉴스 팍 (News pakh)
뉴스 팍 (News pakh)

어깨충돌증후군 원인과 증상. 꼭 수술 해야 되나?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과 증상은 무엇일까요? 통증이 심해질 때, 수술이 필요한지 궁금하다면 이 글을 통해 해결해보세요!

언제부터 어깨에 통증이 시작됐다. 활동할 땐 거의 느끼지 못하던 통증이 밤만 되면, 강도가 커졌다.

몇 주간 버티다 결국 병원에 갔고, 어깨충돌증후군이란 병명을 듣게 되었다.

오늘은 현재 내가 겪고 있는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한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는 꼭 수술로만 가능한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다.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어깨는 회전근개라는 4개의 근육과 힘줄로 팔을 들어 올리기도 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뼈와 회전근개의 근육 또는 힘줄이 서로 충돌 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어깨가 점점 더 불편해지고, 통증 역시 더 커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깨충돌증후군

어깨충돌증후군 주요 증상

처음엔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커진다. 팔을 머리 위로 들려고 하거나, 열중 쉬어 자세를 취하려 할 때 더욱 심해진다.

주요 증상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 팔을 들어 올리거나 무리한 동작을 취할 때, '뚜둑'과 같은 충돌 소리와 함께 통증이 나타난다.
  • 위로 팔을 들거나, 등 뒤로 돌릴 때 통증의 강도는 커진다.
  • 밤에 잠을 잘 때 어깨가 아파 잠 잘 이루지 못한다.
  • 증상이 지속되면, 어깨 근육이 약해져 팔을 제대로 움직이는 게 힘들어진다.

어깨충돌증후군 원인

필자의 경우 무거운 물건을 반복 적으로 들다가 어깨충돌증후군에 걸렸다. 어깨는 매우 유연성 높은 관절이지만, 외부 충격이나 힘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조심해야 된다.

그럼 원인에 대한 내용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반복 적으로 과한 어깨 사용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반복 적인 어깨 사용은 어깨충돌증후군을 부추긴다.

팔을 주로 사용하는 운동 역시 이런 질환에 자주 걸리게 되는데, 수영, 테니스, 탁구, 배드민턴 등의 스포츠가 대표적인 예이다.

어깨 통증

어깨 해부학 적 문제

나의 경우 어깨 뼈가 과도하게 발달 돼, 회전근개의 움직이는 공간이 좁아져 근육과 힘줄이 뼈와 닿는 상황으로 어깨충돌증후군을 진단 받았다.

실제로 이런 원인으로 질환을 얻는 사람이 적지 않으며, 이를 어깨 해부학 적인 문제로 보고 있다.

참고로 팔을 자주 사용해 어깨 뼈가 자라는 사람이 있는 반면, 이유 없이 처음부터 어깨 뼈가 자라있는, 즉, 선천적인 문제로 질환을 겪는 사람도 있다.

나이

당연한 말이지만, 나이를 먹으면 먹을 수록 인체 모든 기관 역시 점점 약해진다. 회전근개도 예외는 아니며, 점점 탄력성이 떨어지고, 힘줄이 얇아지게 된다.

이런 노화 현상으로 인해 회전근개가 어깨뼈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특히 40대 이상에서 어깨충돌증후군이 더 흔하게 발생된다.

자세

불량한 자세 또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구부정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게 만드는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은 어깨의 근육과 힘줄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가중 시킨다.

잘못된 자세는 어깨에 조금씩 데미지를 쌓이게 만들어 충돌증후군을 발생 시키게 만든다.

염증 및 외상

어깨에 염증이 발생되면 회전근개와 어깨뼈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충돌 위험이 커진다.

또한 외부에서 큰 충돌이 어깨로 전달되거나, 사고로 인한 외상이나 낙상 등으로 어깨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회전근개가 손상되거너 충돌되는 현상을 보일 수 있다.

어깨충돌증후군 꼭 수술 해야 하나?

결론부터 말해보면, 무조건 수술이 먼저는 아니다.

필자 역시 정형외과에서 진단 받을 때 어깨충돌증후군으로 염증도 생기고 인대 파열에 물까지 찼지만, 수술하자는 소리는 절대 듣지 못했다.

우선 냉찜질로 염증과 물을 줄이는데 힘쓰고, 차후 뜨거운 찜질로 회복을 돕다 보면, 염증과 물도 점차 사라지고 손상됐던 인대도 치유된다고 했다.

의사가 말하길, 치유하는 과정이 힘들고 아프더라도 자연적으로 낫도록 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 말했다.

그리고 수술은 최후에 수단이지 절대 처음부터 시행하는 건 옳지 못하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마치며

어깨충돌증후군을 겪어보신 분들은 아실 거다. 순간적으로 느껴지는 극도의 고통을.

어느 정도냐면, 누가 내 팔을 잡으면 몸과 어깨가 경직될 정도로 힘을 줄 정도다.

그러니까 어깨가 아프다면, 집에서 나아지기를 기다리지 말고, 빠르게 진료 받고 치료를 받는 게 건강한 어깨를 지키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댓글 쓰기

비방, 욕설, 명예훼손 등의 부적절한 댓글은 확인 즉시 삭제되며, 심각한 경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